SunDry

잡식성 대학원생

SunDry: 잡식성 대학원생

독서/군주론

마키아벨리의 군주론 (6): 자신의 무력과 역량으로 얻은 신생 군주국

Sun_Dry 2024. 6. 13. 10:55
728x90
반응형

6장: 자신의 무력과 역량으로 얻은 신생 군주국

역량 대 행운

  • 신생 군주국에서 군주가 부딪히는 어려움의 정도는 그의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.
  • 그가 군주가 되었다는 것은 행운과 역량이 모두 따라주었던 것이지만, 역량이 더 강할 경우에 자신의 지위를 더 잘 유지 할 것이다.

자신의 역량에 의해서 군주가 된 인물

  • 그들에게 있던 행운은 질료를 최선의 형태로 빚어낼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 뿐이었다.
    1. 모세: 모세의 출현을 위해서 유대인들은 이집트인들에게 탄압받을 필요가 있었다.
    2. 로물루스: 로마의 건국가가 되기위해서는 그가 알마에서 태어나자마자 버려져야 했다.
    3. 키로스: 메디아인의 지배에 불만을 품은 페르시아인과 오랜 평화로 유약해진 메디아인들이 필요했다.
    4. 테세우스: 아테네인들이 분열되있었기에 최대의 역량을 발휘했다.
  • 이러한 기회는 행운이지만 그들의 역량으로 그 기회를 포착하여 활용할 수 있었다.
  • 이렇세 스스로의 힘으로 군주가 된 사람은 권력을 얻을 떄 시련을 겪지만, 그 후에는 쉽게 유지한다.

국가를 얻기위해 겪는 시련들

  • 이런 시련들은 국가를 세우고, 권력을 확고히 하기위한 과정에서 도입해야만 하는 새로운 제도와 통치 양식에서 비롯된다.
  • 새로운 형태의 제도를 만드는 것이 어려운 이유
    • 구질서로 이익을 누리던 이들은 개혁자에게 적대적이된다
    • 반면, 새질서의 수혜자들은 미온적인 지지자로 남는다.
    → 과거의 법에서 일방적으로 전횡하던 적들을 두려워 하고
    • 새로운 제도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전력을 다해 공격하지만, 지지자들은 반신반의하며 행동하게 된다.
  • → 결과를 직접보기 전까지는 신회하지 않기 때문

새로운 제도의 도입하려면?

  • 성공을 위해서 타인의 힘이 필요한지, 자신의 힘으로 밀어붙일 수있는지를 검토해야함
  • 타인에게 간청하는 경우
    • 거의 항상 성공하지 못하며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함
  • 자신의 힘으로도 개혁을 주도할 수 있는 경우
    • 거의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.
  • 이런 결과에 대한 원인은 인민이 변덕스럽기 때문이기도 하다.
    • 인민을 설득하기는 쉬우나, 설득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.
    • 그들이 당신을 더 이상 믿지 않을 경우에도 힘으로 믿게씀 강제할 수 있어야 한다.
  • 예시
    1. 모세, 키로스, 테세우스, 로물루스가 무력이 없었더라면 그들이 만든 새로운 정치질서를 보존 할 수 없었을 것이다.
    2.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신부는 대중이 그에 대한 믿음을 상실하자마자, 그가 만든 새로운 질서와 함께 몰락함
    3. → 믿었던 자들의 지지를 유지 할 수단이 없었다.

역량을 가진 인물들이 성공한다.

  • 유능한 개혁자들은 많은 시련을 겪는다.
  • 시련들은 모두 계획(개혁)을 시작한 후에 다가오며, 자신들의 역량을 통해서만 극복 가능하다.
  • 위험을 극복하고, 성공을 해하는 자들을 섬멸하면, 강력하고 확고한 존중을 받는 성공한 지도자로 남게 된다.
  • 예시: 사라쿠사의 히에론 왕
    1. 일개 시민에서 군주가 된 왕
    2. 시라쿠사가 위험할 때, 그는 장군으로 뽑혔고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군주가 되었다.
    3. 새로운 군대를 조직하고, 새로운 동맹을 맺고 옛 동맹을 폐기하여 그가 원하던 국가를 세웠다.
728x90
반응형